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 섭취는 언제까지일까?

by 하나뿐인나 2022. 6. 1.
반응형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의 섭취 가능여부 및 신선도 확인법 등 계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계란 섭취는 언제까지일까?

30알의 계란 한 판을 구매하고 유통기한이 넘어서까지 섭취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계란을 먹어도 되는지 상한 것은 아닌지 확인을 해야 하기에 계란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그리고 신선한 계란 구별법까지 상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우리집 계란, 먹어도 되는지 신선한지 알아보기

 

계란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섭취기한)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한 설명은 지난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포스팅 바로가기)

 

(1) 계란의 유통기한 :  산란일 기준으로 45일까지

(2) 계란의 소비기한 (섭취 가능기한) : 유통기한으로부터 25일 이내

이는 정확하게 계란을 냉장 보관했을 경우에 한하며, 섭취 전 계란의 신선도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계란의 산란일 확인하기 (계란 난각 표기법)

2019년 2월부터 계란에 표기를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많은 분들이 계란에 다음과 같이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셨을 것으로 보입니다. 각 내용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앞의 4자리 숫자

산란일자를 말하며, 산란 시점에서 36시간 이내 채집을 한 경우에는 채집한 날을 산란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즉, 숫자에서 하루 반나절 전까지 산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중간의 표시

생산자 고유번호

(3)  마지막 숫자

닭의 사육환경을 표시하는 것으로써 1~4번까지 표기됩니다.

「4」 닭장(케이지) 1개에 15마리를 사육하는 것

「3」 닭장(케이지) 1개에 11마리를 사육하는 것

「2」 닭장이 없는 우리 닭장 1개에 15마리를 사육하는 “평사 계란”

「1」 우리가 아닌 방사를 통한 사육으로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자유방목 계란”

계란에 표기 된 번호는 각각 산란일자, 생산자고유번호, 닭의 사육환경을 표기하는 것이며 이는 2019년 2월부터 표기 의무화되었다.

계란 보관 방법

(1) 구매 후 바로 냉장보관

 

(2) 계란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로 가게 보관

      완만한 부분에 계란의 숨구멍 “기실”이 있어 신선도 유지에 유리

 

(3) 보관 시 구매한 그대로 보관

     씻어서 보관하지 말 것

 

(4) 냉장고 안쪽에 보관

     계란은 온도 변화에 예민한 식료품으로 냉장고의 문쪽이나 안쪽에 보관하게 되면 냉장고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에 의해 신선도 유지가 어려움 

 

계란 신선도 확인 방법

계란은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 이내의 제품이라도 그 과정에서 우리가 모르는 이유에 인해 신선도 유지가 불가능한 경우(계란을 낳은 닭의 상황, 닭의 산란 개월령, 유통과정에서의 상황, 냉장보관을 하는 냉장고의 보관 온도나 습도 등) 도 간혹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란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기에 참고 바랍니다.

(1) 계란을 깨지 않고 확인하는 방법

투명한 용기에 물을 담고 계란이 가라앉는 것을 확인

- 조용히 가라앉으면 섭취 가능한 신선란으로 판단

- 가라앉는 과정에서 가파른 각도를 보인다면 부패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 물에 떠오르면 부패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용기에 식염수를 담고 계란이 가라앉는 것을 확인

- 약 11% 농도의 식염수에서 바로 가라앉으면 신선란 A급으로 판단

- 약 11% 농도의 식염수에서 떠오르고, 약 10% 농도의 식염수에서 가라앉으면 신선란 B급으로 판단

- 약 10% 농도의 식염수에서 떠오르고, 약 8% 농도의 식염수에서 가라앉으면 부패 경향을 보이는 계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 약 8% 농도의 식염수에서 떠오르면 부패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계란을 흔들어 소리로 확인

- 계란을 흔들었을 때 흔들림이 느껴지고 소리가 나게 되면 부패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2) 계란을 깨고 확인하는 방법

계란의 노른자의 흰자의 경계로 확인

- 경계가 선명한 경우에는 신선란으로 판단

- 경계가 모호하거나 퍼진 경우에는 부패란으로 판단하여 섭취 불가

 

계란의 노른자 위에 희고 기다란 끈으로 확인

- 계란의 단백질인 알끈을 말하며, 이것이 보인다면 신선란으로 판단

- 알끈이 없거나 보이지 않더라도 계란의 섭취에는 무방

 

우리의 냉장고에 언제나 한켠을 차지하고 있는 계란이지만, 유통기한 혹은 소비기한(섭취 가능기한)을 확인하지 않고 부패한 계란을 섭취했을 때에는 복통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에 섭취 전 반드시 계란의 신선도 확인과 유통기한 등의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