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택 담보 대출 용어 설명 LTV, DTI, DSR 총정리

by 하나뿐인나 2022. 7. 4.
반응형

주택담보대출 용어 LTV, DSR, DTI 총정리 썸네일
주택 담보 대출 용어 설명 LTV, DTI, DSR

 

2022630일 국토부에서는 부동산 정책을 새롭게 조정 발표했습니다. 부동산 정책을 알기 위해서는 주택 담보 대출에 대한 기본적인 용어를 알아 두어야 하기에 LTV, DTI, DSR이 무엇인지 기본적인 내용을 다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대출 규제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용어 설명(LTV, DTI, DSR)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 담보 대출 비율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담보가치에 대비하여 대출 가능한 최대한도로써

80%이라고 한다면 라면 주택 가격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하고, 자기 자본은 20%만 있으면 되는 것을 말합니다.

 

 

 

 

(1) 투기 과열 지구

  • KB시세 6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60% 적용되며 최대 4억 원까지 대출 가능
  • KB시세 6억 원 이상 9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50% 적용되며 최대 4억 원까지 대출 가능
  • KB시세 9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40% 적용
  • KB시세 9억 원 이상의 주택 - LTV 20% 적용
  • KB시세 15억 원 이상의 주택 - 대출 불가능
  • 2 주택자가 주택 신규 구입 시 주택 담보 대출 금지 – LTV 0%

 

(2) 조정 대상 지역

  • KB시세 5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70% 적용되며 최대 4억 원까지 대출 가능
  • KB시세 5억 원 이상 8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60% 적용되며 최대 4억 원까지 대출 가능
  • KB시세 9억 원 이하의 주택 – LTV 50% 적용
  • KB시세 9억 원 이상의 주택 - LTV 30% 적용
  • 2 주택자가 주택 신규 구입 시 주택 담보 대출 금지 – LTV 0%

 

(3) 비 조정 대상 지역

  • 주택 구입 가격과 상관없이 LTV 70% 적용

 

(4)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 2022년 7월 1일부터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상향 조정
  • 지역에 상관없이 LTV 80% 적용되며, 최대 6억 월까지 대출 가능

 

 

 

 

대출을 받고 갚을 수 있는 소득을 벌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DTIDSR

 

(1) DTI(Debt To Income) 총부채 상환 비율

 

주택 담보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에 대한 이자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써 대출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계산법: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연간 소득

DTI의 수치가 낮을수록 대출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액이 1억 원이고 DTI50%라고 한다면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5천만 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DTI의 경우에는 연간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이 차지하는 비율이기에 대출 기간을 장기간으로 가지고 간다면 대출 한도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투기과열지구: DTI 40%
  • 조정대상지구: DTI 50%

 

(2) DSR(Debit Service Ratio)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

 

주택 담보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에 대한 총 대출 상환액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써 대출하려는 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대출에 대하여 원금과 이자를 상환할 능력을 가진 소득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 DTI보다 DSR이 더욱 강한 규제이기에 같은 소득이라고 할지라도 DSR을 적용하게 되면 DTI를 적용했을 때보다 대출의 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계산법: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연간 소득

 

 

 

 

부동산 구매에 따른 주택 담보 대출의 용어를 LTV, DTI, DSR를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이 구매하고자 하는 지역이 투기과열지구인지 조정대상지역인지 확인하시고 용어를 다시 한번 확인하신다면 대출 가능 한도까지 확인이 가능하기에 반드시 용어를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관련하여 부동산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에 대해서는 다음의 포스팅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